CloudPlatform(9)
-
KT 클라우드- 공공존 구조
DMZ Zone과 Private Zone으로 구분 DMZ Zone VM과 Private Zone VM (또는 BareMetal(물리머신)) 간에는 DMZ F/W과 Private F/W에 의해 차단되며 CIP 네트워크 이용하여 연동 DMZ Zone에는 웹서버등 Public으로 노출되는 VM 배치 (표준) Private Zone에는 WAS 및 DB 등 배치 (표준) Private Zone에 배치되는 시스템은 VM 또는 BareMetal(물리머신) 웹서비스를 이용하는 최종 사용자는 DMZ F/W IPS DMZ LB (옵션) VR VM 의 경로로 접근 고객사 전산실 또는 Collocation 시스템은 VPN 또는 전용회선과 연동하여 Private Zone으로 연 동 (고객사 서버팜 VPN/전용..
2021.11.22 -
KT 클라우드- 공공존 용어 정리
DMZ: 웹서버와 같이 외부망에 노출되어야 하는 서버들을 수용할 수 있는 zone 입니다. IPS와 방화벽으로 보호됩니다. Private network: DB서버와 같이 외부망과 철저히 분리되어야 하는 서버들을 수용할 수 있는 zone 입니다. 방화벽으로 보호되며, 고객사 내부망과 VPN을 연결해야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. IPS (침입방지시스템): 해킹, DDos, 웜/바이러스 등의 유해 트래픽을 탐지하여 이를 실시간으로 차단합니다. FW(방화벽): 외부망과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며 인터넷 등 외부에서 들어오는 트래픽을 접근 통제 정책에 따라 차단합니다. CIP(Cloud Internal Path) 현재 ucloud server 생성시 VM 에 Single NIC(Network Interface Ca..
2021.11.22 -
Global Route Manager
DNS 기반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로드밸런싱하는 GSLB 상품 DNS 기반의 로드밸런싱 서비스 제공을 통해서 지역별 트래픽 기반 부하 분산, DR 구축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상품 로드밸런싱 타입은 4가지 제공 (Round Robin, Weighted, GeoLocation, Failover) IP에 대한 Health Check 만 제공 싱가폴 사용자는 싱가폴 DNS 서버 , 한국 사용자는 한국DNS 서버 서버가 어디 지역에서 오는지 확인 하고 해당 리전으로 보낸다.
2021.10.21 -
NAT Gateway
비공인 IP를 가진 다수의 서버에게 대표 공인 IP를 이용한 외부 접속을 제공 NAT Gateway를 통해 외부로 접속할 때 사용되는 대표 공인 IP는 해당 NAT Gateway만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IP Auto Scailing과 연계된 자동 설정 제공 보안상 다수의 공인 IP에 대한 ACL을 오픈할 수 없는 경우 혹은 공인 IP생성 비용 절약 가능
2021.10.21 -
IPSEC VPN
고객의 사내망과 NCP 간 사설 통신을 위한 IPSEC VPN 고객의 VPN 장비와 NCP VPN 장비 간 터널링 연결 제공 (통신 방식 호환이 되어야 함) NCP 서버들은 Private Subnet 대역 (192.168.x.x)으로 통신 필요 BW 최대 30Mbps 제공
2021.10.21 -
CDN+ , Gloabal CDN
컨텐츠를 Caching 하여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서비스 국내, 국외 주 서비스 지역에 따른 CDN 상품 분리 제공 (CDN +: 국내 전용, GCDN :국외전용) 도메인은 랜덤 CDN 도메인 (*.ntruss.com) 혹은 보유하고 있는 도메인 사용 가능 자원 프로토콜은 HTTP/S CDN이 언제 필요할까? 대규모 파일 배포나 이미지 서비스, 동영상 서비스 등 대규모로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웹서버를 통해 배포하게 되면 웹서버의 용량이 기하 급수적으로 커져야함. 이러한 대규모 트래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서비스
2021.10.21